1. 구조체의 정의
- 배열의 자료의 형과 크기가 동일한 변수의 모임이라면 구조체는 자료의 종류가 다른 변수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 여러 종류의 자료형이 섞인 배열을 여러개 관리 하기 위함
struct sawon{ char name[10]; char jikwi[10]; int pay; }
struct : 구조체를 정의하는 예약어
sawon : 구조체의 이름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 'sawon'이라는 자료형을 하나 만든 것
2. 구조체 변수의 선언
- 정수형 변수를 사용하려면 int a; 와 같이 선언한 후 사용하는 것 처럼 선언한다
struct sawon ansan, *seoul;
- sawon ansan : 정의한 구조체 sawon 자료형으로 변수를 선언하는데 변수의 이름은 ansan 이라는 의미
- *seoul : 구조체의 포인터 변수다.
3. 구조체 멤버의 지정
- '.'에 의한 지정 : 구조체 일반 변수를 이용해 구조체 멤버를 지정
ansan.name = "김한둘";
ansan.jikwi = "대리";
ansan.pay = 4000000;
- '->'에 의한 지정 : 구조체 포인터 변수를 이용해 구조체 멤버를 지정할 때
seoul -> name = "홍길동";
seoul -> jikwi = "과장";
seoul -> pay = 500000;
- 구조체의 포인터 변수는 일반 포인터 변수처럼 *를 사용하여 멤버를 지정할 수 있음
(*seoul).name = "홍길동";
*(ansan).jikwi = "과장";
*(ansan).pay = 5000000;
예제
'정보처리기사 준비 > 프로그래밍 파트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모듈화, 결합도 (0) | 2024.04.16 |
---|---|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 예외처리, 프로토타입, 프레임워크, 재사용 (0) | 2024.04.16 |
[프로그래밍] C언어-포인터, 배열 (0) | 2024.04.12 |
[프로그래밍] 데이터 입출력, 제어문, 반복문 (0) | 2024.04.11 |
[프로그래밍] 데이터 타입, 변수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