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지식 쌓기

교착 상태 해결 방법

류도토리 2024. 1. 2. 17:33
  1. 교착 상태 해결 방법 : 예방, 회피, 검출 후 회복
  2. 교착 상태 예방
    1. 교착 상태 발생 조건(상호 배제, 점유와 대기, 비선점, 원형 대기) 중 하나 없애버리기
      1. 상호 배제를 없애면?
        1. 모든 자원을 공유 가능하게? - 현실적으로 불가능
      2. 점유와 대기를 없애면?
        1. 특정 프로세스에 자원을 모두 할당하거나, 아예 할당하지 않는 방식으로 배분 - 자원의 활용률을 낮출 수 있는 방식
      3. 비선점 조건을 없애면?
        1. 선점이 가능한 자원에 한해 효과적 - 모든 자원이 선점 가능한 것은 아니다
      4. 원형 대기 조건을 없애면?
        1. 자원에 번호를 붙이고 오름차순으로 할당하면 원형 대기는 발생하지 않음
          1. 자원에 번호를 붙이는 것은 어려운 작업
          2. 어떤 자원에 어떤 번호를 붙이느냐에 따라 활용률이 달라짐
    2.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음은 보장할 수 있으나 부작용이 따름
  3. 교착 상태 회피
    1. 교착 상태를 무분별한 자원 할당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간주
    2.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을 만큼 조심조심 할당하기
    3. 배분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을 고려하여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을 만큼만 자원 배분
    4. 안전 순서열
      1. 교착 상태 없이 안전하게 프로세스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순서
    5. 안전 상태
      1. 교착 상태 없이 모든 프로세스가 자원을 할당 받고 종료될 수 있는 상태
      2. 안전 순서열이 있는 상태
    6. 불안전 상태
      1. 교착 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는 상태
      2. 안전 순서열이 없는 상태
    7. 안전 상태에서 안전 상태로 움직이는 경우에만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8. 항시 안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4. 교착 상태 검출 수 회복
    1. 교착 상태의 살생을 인정하고 사후에 조치하는 방식
    2.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구하면 일단 할당, 교착 상태가 검출되면 회복
    3. 선점을 통한 회복
      1. 교착 상태가 해결될 때까지 한 프로세스씩 자원을 몰아주는 방식
    4. 프로세스 강제 종료를 통한 회복
      1. 교착 상태에 놓인 프로세스 모두 강제 종료 - 작업 내역을 잃을 위험
      2. 교착 상태가 해결될 때까지 한 프로세스씩 강제 종료 - 오버헤드
  5. 교착 상태 무시
    1. 타조 알고리즘

'CS지식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징을 통한 가상 메모리 관리  (0) 2024.01.02
연속 메모리 할당  (0) 2024.01.02
교착 상태(데드락)  (0) 2024.01.02
동기화 기법  (0) 2024.01.02
동기화  (0) 2024.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