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장 장치 계층 구조
- CPU와 가까운 저장 장치는 빠르고, 멀리 있는 저장 장치는 느리다
- 속도가 빠른 저장 장치는 용량이 작고, 가격이 비싸다
- 캐시 메모리
- CPU와 메모리 사이에 위치한, 레지스터보다 용량이 크고 메모리보다 빠른 SRAM 기반의 저장 장치
- CPU의 연산속도와 메모리 접근 속도의 차이를 조금이나마 줄임
- 캐시 메모리까지 반영한 저장 장치 계층 구조
- 계층적 캐시 메모리(L1-L2-L3)
- 참조 지역성의 원리
- CPU가 메모리에 접근 할 때의 주된 경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원리
- CPU는 최근에 접근했던 메모리 공간에 다시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다
- CPU는 접근한 메모리 공간 근처를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다
- 캐시 메모리는 메모리보다 용량이 작다
- 메모리의 모든 내용을 저장할 수 없다
- CPU가 사용할 법한 내용을 예측하여 저장
- CPU가 캐시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활용할 경우 - 캐시 히트 - 성능 향상
- CPU가 메모리에 접근해야 하는 경우 - 캐시 미스 - 성능 하락
- 캐시 적중률 캐시 히트 횟수 / (캐시 히트 횟수 + 캐시 미스 횟수)
-
- CPU가 메모리에 접근 할 때의 주된 경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원리
'CS지식 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의 정의와 종류 (0) | 2023.12.29 |
---|---|
다양한 보조 기억장치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0) | 2023.12.29 |
메모리의 주소 공간 (물리주소, 논리주소) (0) | 2023.12.29 |
RAM의 특성과 종류 (0) | 2023.12.29 |
명령어 집합 구조, CISC, RISC (0) | 2023.12.29 |